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영국 코로나 집단면역 철회
    카테고리 없음 2020. 3. 26. 00:54

    영국 코로나 집단면역 철회

    영국 정부가 ‘사실상 무대응’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비 집단 면역 전략을 철회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13일 영국 정부는 ‘2차 집단 감염 충격이 발생할지 모를 다음 겨울에는 피해가 없도록 지금 저위험군 인구 60% 사이에서 집단 면역을 만들 것’이라는 계획을 공개했다가 보건 전문가들의 비판을 받았습니다.

    코로나19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인 만큼 한 번 감염된 사람에게 면역이 생기는 지 확인되지 않았으며, ‘면역‘을 만드는 동안 고위험군인 고령층에게 전염될 우려가 있고, 집단 감염시 나라의 의료 시스템이 마비될 수 있다는 이유 등에서 입니다. ‘집단 면역’ 전략은 세우면서 집회 통제 등의 방안은 고려하지 않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모습도 국내외에서 비판의 대상이 됐습니다.

    2020년 3월 17일 저녁 임페리얼컬리지런던과 런던위생열대약학대학의 면역학자들의 예측 시나리오가 공개된 것이 영국 정부의 결정을 선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이들의 보고서에는 이탈리아에서와 같이 입원 환자의 30%가 집중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영국에서 벌어진다면 영국의 국가의료시스템이 이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또 이로 인해 26만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예측치도 포함됐습니다. 여기서 26만명은 모두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이 아니라, 의료 체계 붕괴로 인해 다른 질병을 가진 환자들의 사망까지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예상까지 계산한 숫자입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같은 날 몇 시간 후 가진 브리핑에서 집단 면역 정책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신 ”급진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며 영국인들을 향해 재택 근무, 불필요한 여행과 사교성 접촉 삼가기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고했다. 명령과 같은 강제적 조처는 아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강력하게 언급한 것 입니다.

    보리스 존슨 총리의 권고에는 클럽, 술집, 영화관, 극장을 피하라는 것 외에도 ‘동거하는 가족이 지속적 기침이나 발열 등 증상을 보이면 동거인들은 모두 14일 동안 집에서 격리 생활‘, ‘격리 중인 사람은 음식이나 생필품을 사기 위해 외출하는 것도 금할 것‘, ‘밖에서 운동할 때에는 항상 안전 거리를 유지할 것’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하게 확산하고 국내 확진자 추이도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자 방역 전문가들이 “올 한해 장기전을 대비해야하고 ‘집단면역’(herd immunity) 형성을 유도하는 것도 해법이 될 수 있다”라는 견해를 내놓았습니다.

    오명돈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 위원장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 팬데믹과 중앙임상위원회의 역할’ 관련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과거 메르스때처럼 종식시키는 것은 불가능해보인다”라며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억제정책은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개학 후 환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가을에 재유행 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집단면역’이 통제일변도의 대책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제안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이날 “코로나19는 국민 대다수가 면역력을 가져야 종식할 수 있다”라며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 수준이 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집단면역’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됩니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봅니다.

    코로나19가 현재 백신이 없고, 개발까지 1년은 족히 걸린다고 봤을 때 예방접종 없이 면역력을 가지려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우리 몸에 항체가 생겨 완치되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방역을 느슨하게 하면서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집단면역은 빨리 생기겠지만,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처럼 많은 사망자 발생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고 사회적으로 큰 혼란을 초래하게되는 것은 자명하다는 지적입니다.

    대부분의 방역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되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순 없다”고 조언한다. 의료시스템이 붕괴되지 않도록 환자 발생 수준을 통제하고 이 과정에서 사회가 서서히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단면역이 궁극적 해결책이라해도 이 경우 고위험군 사람들의 사망이 속출할 수 있어 이런 방역대책을 택할 순 없다”라며 “대신 모든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조금씩 나오도록 유행을 통제하는 접근이 필요하고 유행 기간은 길어지겠지만, 피해가 최소화되고 이 과정에서 백신, 치료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기석 한림대의대 호흡기내과 교수 역시 “모든 팬더믹이 그렇듯이 코로나19는 결국 많은 사람들이 감염돼고 시간이 흘러야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하지만 한 지역이나 집단시설등에서 한 번에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비극은 피하도록 방역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백신이 아닌 집단면역을 갖는 방법은 ‘대면 억제’와 ‘사회적 거리 두기’등의 현재 방역 대책을 중단하고 일상 생활로 복귀, 위험 계층이 아닌 집단 중심으로 인위적인 확진자를 늘리는 것입니다. 이것은 결국 사회 활동이 시작된다면 코로나19 확산을 현실적으로 막을 수 없기에 방역과 치료에 포커스를 맞춰야 합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치사율이 높지 않으며 무증상자가 많은 10~30대 젊은 층과 달리 60대 이상의 고령자는 이런 대책에 극히 취약합니다. 이를 의식한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 또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를 위한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from http://issueandpeople.tistory.com/248 by ccl(A)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