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코로나 집단면역
    카테고리 없음 2020. 3. 26. 02:32

    코로나 집단면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가 장기전으로 가면서 국내에서 '집단면역'(herd immunity) 형성을 유도하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이목이 쏠립니다.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되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순 없다고 조언합니다.

    참고로, 집단면역이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은 궁극적으로 집단면역이 형성돼야 종식될 수 있지만, 집단면역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방역정책을 끌고 갈 수는 없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코로나19는 국민 대다수가 면역력을 가져야 종식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에서는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 수준이 돼야 한다고 봤습니다. 집단면역은 한 인구집단 중에 특정 감염병에 대한 면역력을 가진 사람이 많을 때 그 질환에 대한 전체 인구집단의 저항력이 향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됩니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의 경우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봅니다. 면역력을 갖추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예방접종'입니다.

    정부가 독감, 홍역 등 감염병의 예방접종을 권고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백신이 없고, 개발까지 1년은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예방접종 없이 면역력을 획득하려면 코로나19에 걸렸다가 나아야 합니다. 우리 몸은 병원체가 들어오면 이에 맞서 싸우기 위해 항체를 만듭니다. 항체가 병원체를 몰아내는 게 '자연치유'입니다. 예방접종은 병에 걸리기 전 이 항체를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집단면역이 형성되게 하려면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어떤 방역정책을 쓰느냐에 따라 사회가 치를 대가에도 차이가 생깁니다. 방역을 느슨하게 하면 감염이 확산해 집단면역은 빨리 생기겠지만,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처럼 많은 사망자 발생을 감수해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의료시스템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환자가 발생하는 수준으로 유행을 통제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가 서서히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집단면역이 형성되려면 많은 사람이 걸려야 하는데 고위험군의 경우 사망이 속출할 수 있다"며 "큰 유행이 몰아치면 그만큼 종식이 빨리 되겠지만 이런 방역대책을 택할 순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대신 모든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조금씩 나오도록 유행을 통제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며 "유행 기간은 길어지겠지만, 피해가 최소화되고 이 과정에서 백신, 치료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기석 한림대의대 호흡기내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 역시 "코로나19는 결국 대부분이 감염돼야 끝난다"며 "하지만 대구·경북, 이탈리아처럼 한 번에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비극은 피하도록 방역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중앙임상위)는 24일 '집단면역'(herd immunity)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대안으로 제시해 감염병학계와 여론의 뜨거운 찬반 논쟁을 유발했습니다. 감염병학계에 따르면 중앙임상위는 최근 지금의 억제 일변도 정책은 한계가 있어 코로나19 타개를 위한 고육지책으로 ‘집단면역’을 가지는 것이 장기전의 대책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중앙임상위는 23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인구 60%가 면역을 가졌을 때 (코로나19의) 확산을 멈출 수 있다”며 “인구집단 면역을 일시적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은 예방접종밖에 없는데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려면 12개월은 기다려야 한다”며 현실적으로 장기전에 대비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집단면역은 집단 내 코로나 바이러스 면역을 가진 사람의 비중을 크게 높이면 바이러스 유행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이론적인 접근입니다. 인구 중 60%가 면역을 얻으면 사실상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수 있다는 접근입니다. 백신이 아닌 집단면역을 갖는 방법은 ‘대면 억제’와 ‘사회적 거리 두기’등의 현재 방역 대책을 중단하고 일상 생활로 복귀, 위험 계층이 아닌 집단 중심으로 인위적인 확진자를 늘리는 것 입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치사율이 높지 않으며 무증상자가 많은 10~30대 젊은 층과 달리 60대 이상의 고령자는 이런 대책에 극히 취약합니다. 이를 의식한 오명돈 중앙임상위원장 또한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를 위한 보완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억제 정책을 지속할 지 완화할지는 건강, 사회, 문화, 경제,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면서 “방역정책의 결정은 과학적 근거와 사회구성원의 이해와 합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전파력이 높은 감염병일수록 면역력을 갖는 인구가 많아야 집단면역이 형성됩니다. 공기로 전파되는 홍역은 인구의 95%가 면역력을 갖춰야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보고 있습니다. 코로나19와 관련해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집단면역을 가져야 하는 기준이 전체의 60%의 수준이 돼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결국, 백신이 없는 상황에 집단면역이 형성되게 하기 위해선 감염이 확산하도록 방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할 경우, 코로나19 초기 중국이나 현재 유럽과 같이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의료시스템이 제 기능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환자가 발생하는 수준으로 유행을 통제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한편, 지난 17일 영국 정부도 ‘사실상 무대응’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비 집단 면역 전략을 철회하기로 했습니다. 지난 13일 영국 정부는 ‘2차 집단 감염 충격이 발생할지 모를 다음 겨울에는 피해가 없도록 지금 저위험군 인구 60% 사이에서 집단 면역을 만들 것’이라는 계획을 공개했다가 보건 전문가들의 비판을 받았습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같은 날 몇 시간 후 가진 브리핑에서 집단 면역 정책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대신 ”급진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며 영국인들을 향해 재택 근무, 불필요한 여행과 사교성 접촉 삼가기 등 사회적 거리두기를 권고했다. 명령과 같은 강제적 조처는 아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강력하게 언급한 것 입니다.

    from http://knowledgecenter.tistory.com/98 by ccl(A)

    댓글

Designed by Tistory.